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 Musculoskelet Trauma : Journal of Musculoskeletal Trauma

OPEN ACCESS

Articles

Page Path
HOME > J Musculoskelet Trauma > Volume 34(4); 2021 > Article
Review Article Denosumab (RANKL Inhibitor): A Potent Anti-Resorptive Agent
Seong-Eun Byun
Journal of Musculoskeletal Trauma 2021;34(4):142-147.
DOI: https://doi.org/10.12671/jkfs.2021.34.4.142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1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A Bundang Medical Center, CHA University, Seongnam, Korea

prev next
  • 63 Views
  • 0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prev next

Denosumab, a fully human monoclonal antibody to the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was introduced and used as an anti-osteoporotic agent. Denosumab prevents bone resorption by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and action of osteoclasts, resulting in an increase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road-spectrum anti-fracture efficacy. Clinical studies, including FREEDOM (Fracture Reduction Evaluation of Denosumab in Osteoporosis Every Six Months) and its extension up to 10 years, FREEDOM Extension, demonstrated its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n additi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denosumab were confirmed in male osteoporosis and glucocorticoid- induced osteoporosis. Therefore, recent clinical guidelines recommend denosumab as an initial treatment. This review summarizes the mechanism of action, pharmacological characteristics, efficacy, and safety issue of denosumab.


J Korean Fract Soc. 2021 Oct;34(4):142-147. Korean.
Published online Oct 25, 2021.
Copyright © 2021 The Korean Fractur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Review
Denosumab (RANKL 억제제): 강력한 골흡수 억제제
변성은
Denosumab (RANKL Inhibitor): A Potent Anti-Resorptive Agent
Seong-Eun Byun, M.D., Ph.D.
    • CHA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정형외과
    •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A Bundang Medical Center, CHA University, Seongnam, Korea.
Received October 14, 2021; Revised October 15, 2021; Accepted October 15, 2021.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RANKL의 인간 단일클론 항체인 denosumab은 골다공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Denosumab은 파골세포의 분화와 작용을 억제하여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척추, 고관절, 비척추 골절에 대한 예방효과를 나타낸다. FREEDOM 연구와 이를 10년까지 연장한 FREEDOM Extension 연구 등의 임상연구를 통하여 폐경 후 골다공증에 대한 denosumab 장기투여의 효과와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남성 골다공증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발 골다공증에서도 denosumab의 효과와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최근의 임상 가이드라인에서 denosumab을 골다공증에 대한 1차 치료제로 권고하고 있다. 이 종설에서는 denosumab의 작용기전, 약리적 특성, 유효성 및 안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Abstract

Denosumab, a fully human monoclonal antibody to the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was introduced and used as an anti-osteoporotic agent. Denosumab prevents bone resorption by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and action of osteoclasts, resulting in an increase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road-spectrum anti-fracture efficacy. Clinical studies, including FREEDOM (Fracture Reduction Evaluation of Denosumab in Osteoporosis Every Six Months) and its extension up to 10 years, FREEDOM Extension, demonstrated its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n additi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denosumab were confirmed in male osteoporosis and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sis. Therefore, recent clinical guidelines recommend denosumab as an initial treatment. This review summarizes the mechanism of action, pharmacological characteristics, efficacy, and safety issue of denosumab.

Keywords
Osteoporosis, Denosumab, RANK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골다공증, Denosumab, RANK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서 론

Denosumab은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RANKL)에 대한 인간 단일클론 항체(monoclonal human antibody)로, 골흡수를 억제하는 골다공증 치료제이다. Denosumab이 골다공증 치료에 도입된 후 여러 연구를 통하여 osteoporosis에 대한 denosumab의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AACE/ACE (American Association of Clinical Endocrinology/American College of Endocrinology), Endocrine Society 등의 최신 임상 진료 지침에서 denosumab을 1차 치료약제로 추천하고 있다.1,2) 2017년부터 국내에서도 보험 적용이 되고 있어 denosumab은 우리나라에서도 골다공증 치료제로 점점 널리 쓰이고 있다. 본 종설은 denosumab의 작용 기전 및 약리적 특성, 효과, 안정성 및 실제 치료에 있어 주의하여야 할 점 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작용기전 및 약리적 특성

파골세포(osteoclast)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계열의 세포로 골재형성 과정 중 골흡수에 관여한다.3) RANKL에 대한 항체인 denosumab은 이 파골세포의 형성과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RANKL-RANK signaling에 작용하여 파골세포의 작용을 억제한다.4)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파골전구세포(osteoclast precursor)는 RANKL의 수용체인 RANK를 발현한다. 이 RANK가 조골세포(osteoblast) 혹은 파골세포에서 발현되는 RANKL과 결합하면 파골전구세포가 파골세포로 분화하게 된다.5) 주로 조골세포에서 형성되는 RANKL에 대한 유인수용체(decoy receptor)인 osteoprotegerin (OPG)이 RANKL-RANK signaling에 작용하여 파골세포 형성과 골흡수를 억제하는 것이 알려짐에 따라 이 RANKL-RANK signaling을 억제하는 것이 골다공증 치료의 주요한 표적이 되었다. 이러한 기전을 이용하여 RANKL에 대한 인간 단일클론 IgG2 항체인 denosumab이 개발되었다. IgG2 항체는 IgG1 항체와 달리 보체 혹은 항체 의존적 세포독성을 유도하지 않는다. 또한, denosumab은 RANKL에 특이적이고 높은 결합 친화성을 보이면서도 같은 단백질 family인 tumor necrosis factor (TNF) ligand family와는 반응하지 않는다.6)

제1상 연구에서 denosumab 피하 투여는 비선형적인 약동학을 보였으며, 용량의존적이지만 혈청최대농도(Cmax)의 증가는 용량 증가보다 더 높았다. Denosumab의 피하 단일투여 후 골흡수표지자인 소변 N-terminal 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 (NTX)의 신속한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용량의존적이었고, 6개월까지 지속되었다. 골형성 표지자인 혈청 bone-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역시 감소를 보였으나 골흡수 표지자에 비해 좀 더 느리고 적은 변화를 보였다.6) Denosumab은 분자 크기가 커서 신장(kidney)을 통해 배출되지 않으며 간에서 분해되지도 않고, 세망 내피계(Reticuloendothelial system)를 통하여 분해된다. 따라서, 신기능 저하가 약동학 및 약역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7)

Denosumab의 효과

1. FREEDOM 및 FREEDOM Extension study (폐경 후 여성)

제3상 임상 연구인 FREEDOM (Fracture Reduction Evaluation of Denosumab in Osteoporosis Every Six Months) 연구 및 이의 연장 연구(FREEDOM Extension)를 통하여 denosumab의 효과 및 안정성이 보고되었다.

60–90세의 폐경 후 여성 7,868명을 대상으로 한 이중맹검 방식의 무작위 연구인 FREEDOM study에서 36개월의 denosumab 투여군에서 연구의 1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새로운 방사선학적 척추 골절의 발생이 위약군에 비해 68%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고관절 골절 및 비척추 골절의 발생 역시 각각 40%, 20%의 감소를 보였다. 골밀도에 있어서는 denosumab 투여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9.2%의 요추 골밀도 및 6.0%의 고관절 골밀도(total hip bone mineral density) 증가가 확인되었다.8)

3년간의 FREEDOM study 이후, 연장 연구에 동의한 대상자(4,550명)에게 7년간 추가로 denosumab을 투여한 FREEDOM Extension study에서 denosumab 투여는 FREEDOM study의 결과와 유사한 낮은 골절 발생률을 보여 denosumab의 효과가 10년까지 지속됨을 보여주었다.9) 골밀도의 경우 처음부터 최종 10년까지 denosumab을 투여 받은 환자들(long-term group)에서는 투약 전 기저치에 비해 21.7%의 요추, 9.2%의 고관절, 9.0%의 대퇴 경부 골밀도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FREEDOM study에서 위약투여 후 7년간 denosumab을 투여 받은 군(crossover group)에서는 투약 전 기저치에 비해 16.5%의 요추, 7.4%의 고관절, 7.1%의 대퇴 경부 골밀도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투여기간 동안 골밀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9)

Denosumab 투여에 의한 이러한 장기간의 지속적인 골밀도의 증가는 피질골 다공성(cortical porosity)을 감소시킴으로써 나타나는 피질골 강도 증가와 모델링 기반 골형성 (modelling based bone formation)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FREEDOM 연구 참여자 50명에 대한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연구에서 약물투여 전 혈청 C-telopeptide (CTX)가 높을수록 피질골 다공성이 크고, 고관절의 골강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36개월 후 denosumab 투여군에서 기저치에 비해 3.6%, 위약군에 비해서는 5.3%의 다공성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다공성의 감소는 고관절의 골강도 향상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1)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조직형태분석(histomorphometric analysis) 연구에서 denosumab을 2회 이상 투여 받은 환자들의 해면골 및 endocortical envelop의 모델링 기반 골형성이 증가하였으며, 리모델링 기반 골형성은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2) 따라서, denosumab은 골흡수를 억제하여 리모델링을 감소시키지만 모델링기반 골형성은 유지시키기 때문에 리모델링이 최대한으로 억제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골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FREEDOM Extension study 결과에 대한 사후분석 (post hoc analysis)에서 3년간 denosumab을 투여한 FREEDOM study의 denosumab 투여군(long-term group)과 FREEDOM Extension study에서 처음 denosumab을 투여받았던 crossover group의 첫 3년간 denosumab 투여 결과를 합산한 3년간의 denosumab 투여 결과와 denosumab을 4–7년, 4–10년 투여 시기의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denosumab을 4–7년, 4–10년 투여 시 3년까지의 투여에 비하여 각각 28% 및 26%의 비척추 골절 감소가 보고되었다.13)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10년까지의 denosumab 투여는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 증가 및 골절 예방에 대한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남성 골다공증

골다공증이 있는 남성에 대해서도 위약을 이용한 무작위 이중맹검 연구를 통하여 denosumab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14) 30–85세의 골밀도가 낮거나 골절 병력이 있는 242명의 정상 성선기능 혹은 성선기능 저하 남성을 대상으로 한 이연구에서 denosumab 투여 12개월 후 기저치에 비해 5.7% 의 요추, 2.4%의 고관절, 3.1%의 대퇴 경부 골밀도 증가가 확인되었다. 혈청 CTX는 denosumab 투여군에서 기저치 대비 81%가 감소하였으며 위약군에서는 7%만 감소하였다. Denosumab 투여 2년 후에는 기저치 대비 8.0%의 요추, 3.4%의 고관절, 3.4%의 대퇴 경부 골밀도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골표지자의 감소 역시 유지되었다. 상기 연구의 결과로 보아 denosumab은 남성 골다공증 환자에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3.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발 골다공증 (glucocorticoid induced osteoporosis)

이중맹검 방식의 제3상 연구를 통하여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발 골다공증에 대한 denosumab의 유효성이 연구되었다. 18세 이상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발 골다공증 환자 795명에 대한 연구에서 denosumab은 요추 골밀도 증가에서 risedronate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다만, 골절 발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15)

Denosumab의 부작용

1. 감염

RANKL과 RANK, 그리고 OPG가 T cell과 B cell과 같은 면역세포에서 발현이 되고, RANKL을 제거한 생쥐에서 림프절 및 림프구의 발생이 저하되었다고 보고되어,4) denosumab 사용이 면역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실제로 FREEDOM study에서는 denosumab 투여 환자에서 연부조직 감염(cellulitis)이 위약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8) 그러나 이러한 연부조직 감염은 denosumab 투여 환자의 0.3% (12/3,886)에서 발생하여 그 빈도가 매우 낮았으며, 연부조직 감염을 포함한 감염증 전체의 발생빈도는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또한, FREEDOM Extension 연구에서는 연부조직 감염 등 감염증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16) 메타분석 연구에서도 denosumab이 감염의 위험을 높이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17) 실험에서도 OPG에 의한 RANKL의 억제가 면역에는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골흡수만을 감소시키는 것이 보고되어 RANKL이 생후(postnatal)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8) 따라서, 현재까지는 denosumab 투여가 감염의 위험을 높인다는 증거는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나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2. 악골괴사(osteonecrosis of jaw) 및 비전형대퇴골절(atypical femoral fracture)

악골괴사의 경우 3년간의 FREEDOM 연구에서는 발생 환자가 없었으나, 7년간 연장하여 투여 10년까지 관찰한 FREEDOM Extension 연구에서는 13예의 악골괴사가 발생하여 5.2/10,000 patient-years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비전형대퇴골절의 경우도 FREEDOM Extension 연구에서 2예가 보고되어 0.8/10,000 patient-years의 낮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3. 저칼슘혈증

Denosumab 투여 후 저칼슘혈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하여야 한다. 비록 FREEDOM 및 FREEDOM Extension 연구에서 저칼슘혈증의 위험이 높아지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이는 연구 중 칼슘 및 비타민 D 보충제가 투여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비타민 D 결핍이 있거나 신기능 저하 환자, 부갑상선기증 저하증 환자에서 저칼슘혈증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9,20,21) 따라서, denosumab 투여 시 칼슘 및 비타민 D의 적절한 보충이 필요하다.

Denosumab 투여 중단의 영향 및 타약제 순차치료

Denosumab 투여 중단 시 리모델링이 증가하여 골밀도가 감소하고 척추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소위 “rebound effect”는 denosumab 투여 중단 후 파골세포형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2) McClung 등23)은 8년간의 denosumab 치료 후 16.8%의 요추 골밀도가 증가하였으나 denosumab 중단 1년만에 골밀도가 6.7%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평균 연령 59세의 폐경 후 여성 256명을 대상으로 한 2년간의 무작위 이중맹검 제3상 임상연구에 이은 2년간의 치료 중단 연장 연구에서 치료 중단 후 혈청 CTX는 3개월 내에, 혈청 P1NP는 6개월 내에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치료 중단 2년 후 치료 시작 전 기저치에 도달하였다. 골밀도 역시 치료 중단 후 감소하여 고관절 및 요골 골밀도의 경우 denosumab 투여군에서 치료 중단 2년에 기저치보다 감소한 값을 보였다. 다만, 치료군의 골밀도는 위약군의 골밀도에 비하여 척추, 고관절, 요골 모두 연구기간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24)

Denosumab 중단 후 다발성 척추 골절이 발생한 증례들이 보고되었다.25) 척추 골절은 denosumab 중단 후 다른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8-18개월 사이에 발생하며 그 빈도는 7-15/100 patient-years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26,27)

따라서, denosumab의 중단 후 골밀도의 감소와 골절 위험 증가를 예방하기 위해 bisphosphonate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아직 표준 요법이 확립되지 않았으나 여러 부위의 골절에 대한 효과를 보인 zoledronate 단일 투여가 주로 시도되고 있다. Everts-Graber 등28)은 denosumab을 2-5년(평균 3년) 투여 받은 120명의 폐경 후 여성에 대해 denosumab 투여 중단 6개월 후 zoledronate 단일 투여를 시행한 연구에서 denosumab 투여로 증가된 골밀도의 절반 이상을 보존할 수 있었으며, 오직 3예의 척추 골절과 4예의 비척추 골절만이 발생하였고, 다수의 척추골절이 발생한 예는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긴 기간 denosumab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는 zoledronate 투여의 효과가 크지 않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에 denosumab을 3년 이상 투여한 환자에서는 denosumab 투여중단 시 zoledronate를 투여하더라도 골밀도, 골표지자에 대한 세심한 추적관찰을 하는 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29)

Denosumab 투여 중단 후 골형성 촉진제인 teriparatide를 사용하는 경우 요추와 대퇴부에서 6–12개월 사이에 골밀도가 감소하며, 요골의 경우 지속적인 골밀도의 감소를 보여 denosumab 투여 후 teriparatide 사용은 가급적 피할 것이 권고되고 있다. 반면, teriparatide를 투여 받은 환자에서 denosumab을 투여하는 경우 골밀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teriparatide 투여 후 사용하는 골흡수 억제제로 denosumab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30)

Denosumab 투여의 실제

Denosumab은 6개월마다 60 mg을 피하주사한다. 2017년 denosumab의 보험기준이 신설된 후 2019년 개정되어 현재는 다른 골흡수 억제제와 비슷하게 중심골 골밀도 T-score −2.5 이하인 경우 및 골다공증성 골절이 있는 경우 급여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Rebound effect 및 다발성 척추 골절의 우려로 인하여 bisphosphonate 등과 달리 denosumab의 경우 휴지기 없이 지속적으로 투여할 것이 권고되고 있으며, 목표하던 골밀도에 도달하는 등의 이유에 의하여 투여를 중단할 경우 bisphosphonate 등 다른 골흡수 억제제를 투여하여야 한다.

Denosumab은 신기능 저하에 용량 변경 없이 사용이 가능하지만, 투석 환자에 대한 근거는 부족한 상태이다. 저칼슘혈증의 위험이 있어 칼슘보충제를 함께 투여하는 것이 좋으며, 신기능 저하 등이 있는 경우 저칼슘혈증의 위험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하여야 한다.

결 론

Denosumab은 RANKL에 대한 인간 단일 항체로 척추, 고관절, 비척추 골절 예방에 효과를 보이는 강력한 골흡수 억제제이다. 10년간의 FREEDOM Extension 연구를 통하여 약제의 안정성 또한 확인되었다. 6개월에 1회 피하주사하는 편리성과 더불어 남성 골다공증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발 골다공증 환자에서도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약제 특성상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점점 더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우리나라의 급여기준을 따라 일정 기간 투여 후 골밀도가 T-score −2.5보다 높아져서 투여를 중단하는 경우 급격한 골밀도 감소, 척추골절 발생 등 소위 “rebound effect”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른 골흡수 억제제 치료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Notes

Financial support:None.

Conflict of interests:None.

References

    1. Camacho PM, Petak SM, Binkley N, et al. American Association of Clinical Endocrinologists/American College of Endocrinolog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2020 update. Endocr Pract 2020;26(Suppl 1):1–46.
    1. Shoback D, Rosen CJ, Black DM, Cheung AM, Murad MH, Eastell R.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an Endocrine Society guideline update. J Clin Endocrinol Metab 2020;105:dgaa048
    1. Udagawa N, Takahashi N, Akatsu T, et al. Origin of osteoclasts: mature monocytes and macrophages are capable of differentiating into osteoclasts under a suitable microenvironment prepared by bone marrow-derived stromal cells. Proc Natl Acad Sci U S A 1990;87:7260–7264.
    1. Kong YY, Yoshida H, Sarosi I, et al. OPGL is a key regulator of osteoclastogenesis, lymphocyte development and lymph-node organogenesis. Nature 1999;397:315–323.
    1. Suda T, Takahashi N, Udagawa N, Jimi E, Gillespie MT, Martin TJ. Modula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by the new members of th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and ligand families. Endocr Rev 1999;20:345–357.
    1. Bekker PJ, Holloway DL, Rasmussen AS, et al. A single-dose placebo-controlled study of AMG 162, a fully human monoclonal antibody to RANKL, in postmenopausal women. 2004. J Bone Miner Res 2005;20:2275–2282.
    1. Block GA, Bone HG, Fang L, Lee E, Padhi D. A single-dose study of denosumab in patients with various degrees of renal impairment. J Bone Miner Res 2012;27:1471–1479.
    1. Cummings SR, San Martin J, McClung MR, et al. Denosumab for prevention of fracture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N Engl J Med 2009;361:756–765.
    1. Bone HG, Wagman RB, Brandi ML, et al. 10 years of denosumab treatment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results from the phase 3 randomised FREEDOM trial and open-label extension.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17;5:513–523.
    1. Matsumoto T, Endo I. RANKL as a target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J Bone Miner Metab 2021;39:91–105.
    1. Zebaze R, Libanati C, McClung MR, et al. Denosumab reduces cortical porosity of the proximal femoral shaft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J Bone Miner Res 2016;31:1827–1834.
    1. Dempster DW, Chines A, Bostrom MP, et al. Modeling-based bone formation in the human femoral neck in subjects treated with denosumab. J Bone Miner Res 2020;35:1282–1288.
    1. Bone HG, Chapurlat R, Brandi ML, et al. The effect of three or six years of denosumab exposure in women with postmenopausal osteoporosis: results from the FREEDOM extension. J Clin Endocrinol Metab 2013;98:4483–4492.
    1. Langdahl BL, Teglbjærg CS, Ho PR, et al. A 24-month study evaluat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denosumab for the treatment of men with low bone mineral density: results from the ADAMO trial. J Clin Endocrinol Metab 2015;100:1335–1342.
    1. Saag KG, Wagman RB, Geusens P, et al. Denosumab versus risedronate in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sis: a multicentre, randomised, double-blind, active-controlled, double-dummy, non-inferiority study.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18;6:445–454.
    1. Watts NB, Brown JP, Papapoulos S, et al. Safety observations with 3 years of denosumab exposure: comparison between subjects who received denosumab during the randomized FREEDOM trial and subjects who crossed over to denosumab during the FREEDOM extension. J Bone Miner Res 2017;32:1481–1485.
    1. Diker-Cohen T, Rosenberg D, Avni T, Shepshelovich D, Tsvetov G, Gafter-Gvili A. Risk for infections during treatment with denosumab for osteopor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Clin Endocrinol Metab 2020;105:dgz322
    1. Kong YY, Feige U, Sarosi I, et al. Activated T cells regulate bone loss and joint destruction in adjuvant arthritis through osteoprotegerin ligand. Nature 1999;402:304–309.
    1. McLachlan JM, Marx GM, Bridgman M. Severe symptomatic hypocalcaemia following a single dose of denosumab. Med J Aust 2013;199:242–243.
    1. Okada N, Kawazoe K, Teraoka K, et al. Identification of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ypocalcemia induced by denosumab. Biol Pharm Bull 2013;36:1622–1626.
    1. Killen JP, Yong K, Luxton G, Endre Z. Life-threatening hypocalcaemia associated with denosumab in advanced chronic kidney disease. Intern Med J 2016;46:746–747.
    1. Tsourdi E, Zillikens MC. Certainties and uncertainties about denosumab discontinuation. Calcif Tissue Int 2018;103:1–4.
    1. McClung MR, Wagman RB, Miller PD, Wang A, Lewiecki EM. Observations following discontinuation of long-term denosumab therapy. Osteoporos Int 2017;28:1723–1732.
    1. Bone HG, Bolognese MA, Yuen CK, et al. Effects of denosumab treatment and discontinuation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turnover marker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low bone mass. J Clin Endocrinol Metab 2011;96:972–980.
    1. Anastasilakis AD, Polyzos SA, Makras P, Aubry-Rozier B, Kaouri S, Lamy O. Clinical features of 24 patients with rebound-associated vertebral fractures after denosumab discontinuation: systematic review and additional cases. J Bone Miner Res 2017;32:1291–1296.
    1. Cummings SR, Ferrari S, Eastell R, et al. Vertebral fractures after discontinuation of denosumab: a post hoc analysis of the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FREEDOM trial and its extension. J Bone Miner Res 2018;33:190–198.
    1. Lamy O, Gonzalez-Rodriguez E. Underestimation of vertebral fractures after denosumab discontinuation. J Bone Miner Res 2018;33:547
    1. Everts-Graber J, Reichenbach S, Ziswiler HR, Studer U, Lehmann T. A single infusion of zoledronate in postmenopausal women following denosumab discontinuation results in partial conservation of bone mass gains. J Bone Miner Res 2020;35:1207–1215.
    1. Makras P, Appelman-Dijkstra NM, Papapoulos SE, et al. The duration of denosumab treatment and the efficacy of zoledronate to preserve bone mineral density after its discontinuation. J Clin Endocrinol Metab 2021;106:e4155–e4162.
    1. Leder BZ, Tsai JN, Uihlein AV, et al. Denosumab and teriparatide transitions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the DATA-Switch study): extension of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15;386:1147–1155.
  • Cite
    CIT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Denosumab (RANKL Inhibitor): A Potent Anti-Resorptive Agent
    J Korean Fract Soc. 2021;34(4):142-147.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1
    Close

J Musculoskelet Trauma : Journal of Musculoskeletal Trauma
Close layer
TOP